사건 사고 관련 정보
최근 수정 시각 :

1. 개요2. 대한민국3. 일본4. 미국5. 북한
5.1. 살인5.2. 성범죄5.3. 사회, 국가5.4. 사고 및 재해
6. 기타 국가
6.1. 살인6.2. 실종·납치6.3. 성범죄6.4. 테러총기 난사, 인질극 6.5. 절도 및 강도6.6. 사회, 국가6.7. 미제 사건6.8. 인터넷 관련 사건6.9. 게임 관련 사건6.10. 역사적 사건6.11. 사고 및 재해
6.11.1. 항공6.11.2. 해상6.11.3. 폭발6.11.4. 화재6.11.5. 붕괴6.11.6. 원자력 사고6.11.7. 지진6.11.8. 환경 재해6.11.9. 우주6.11.10. 철도6.11.11. 도로 교통사고6.11.12. 기타
6.12. 예술6.13. 스포츠6.14. 황당 사건6.15. 기타 사건 사고
7. 기타 문서8. 사건 사고를 다루는 프로그램9. 둘러보기

1. 개요[편집]

이 문서는 국내외에서 발생한 사건들에 대한 목록이다. 자료가 너무 없거나 작성 참여율이 없는 문서에 대해서는 관련 기사의 링크를 명시한다.

2. 대한민국[편집]

파일:소나위키 흰색 로고.png
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.
사건 사고 관련 정보/대한민국

3. 일본[편집]

파일:소나위키 흰색 로고.png
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.
사건 사고 관련 정보/일본

4. 미국[편집]

파일:소나위키 흰색 로고.png
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.
사건 사고 관련 정보/미국

5. 북한[편집]

5.1. 살인[편집]

5.2. 성범죄[편집]

5.3. 사회, 국가[편집]

5.4. 사고 및 재해[편집]

6. 기타 국가[편집]

6.1. 살인[편집]

6.2. 실종·납치[편집]

6.3. 성범죄[편집]

6.4. 테러총기 난사, 인질극 [편집]

6.4.1. 20세기 및 그 이전[편집]

6.4.2. 2000년대[편집]

6.4.3. 2010년대[편집]

6.4.4. 2020년대[편집]

6.5. 절도 및 강도[편집]

6.6. 사회, 국가[편집]

6.7. 미제 사건[편집]

6.8. 인터넷 관련 사건[편집]

6.9. 게임 관련 사건[편집]

6.10. 역사적 사건[편집]

6.10.1. 아시아[편집]

6.10.2. 유럽[편집]

6.10.3. 아프리카[편집]

6.10.4. 아메리카[편집]

6.10.5. 냉전[편집]

6.11. 사고 및 재해[편집]

6.11.1. 항공[편집]

6.11.2. 해상[편집]

6.11.3. 폭발[편집]

6.11.4. 화재[편집]

6.11.5. 붕괴[편집]

6.11.6. 원자력 사고[편집]

6.11.7. 지진[편집]

6.11.8. 환경 재해[편집]

해당 문서 참고.

6.11.9. 우주[편집]

6.11.10. 철도[편집]

6.11.11. 도로 교통사고[편집]

6.11.12. 기타[편집]

6.12. 예술[편집]

6.12.1. 위작[편집]

6.13. 스포츠[편집]

6.14. 황당 사건[편집]

6.15. 기타 사건 사고[편집]

7. 기타 문서[편집]

8. 사건 사고를 다루는 프로그램[편집]

9. 둘러보기[편집]


[1] 자료마다 시기와 그 수치는 다르나 공통적으로 최소 수십만명 아사로 본다. 또한 고난의 행군은 98년까지라지만 지금도 고난의 행군만 아니지 항상 기근인 건 다를게 없다.[2] 1975년 8월 16일에 일어난 살인사건으로 작은 상점의 주인이었던 남성이 밀린 월세 문제를 놓고 다투다 홧김에 집주인을 둔기로 무참히 타살하고 시신을 부엌 안에 넣은 뒤 시멘트로 덮어 유기하였으며 그 뒤 범인은 종신형을 선고받았다. 19년 후 가석방을 고려하던 중이던 1994년 12월에 범인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.[3] 가해자와 피해자가 모두 한국인이다.[4] ISIL이 일으킨 프랑스에서의 첫번째 테러사건[5] ISIL이 일으킨 프랑스에서의 두 번째 테러[6] IS의 첫 서방 종교시설 대상 테러[7] 두 번의 폭탄테러로 사상자가 300명이 넘은 사건.[8] 사건 발생 당시 홍콩은 영국령 홍콩이었으나 현재는 중국령이므로 그렇게 표기함[9] 1978년 8월 19일, 이란의 한 극장에서 영화 상영 도중 화재가 발생해 438명이 숨진 사고. 이 화재는 70년대 후반 이란 혁명의 단초가 되었다. 항목 참고.